Selfnote/경전텍스트
퇴율의 성경론 차이
하이안자
2018. 8. 25. 18:34
(원제:조선왕조와 순학의 부재)
......
심성론과 이기론에 대한 퇴율의 견해 차이는 천리(天理)를 추종하는 방법론인 소위 성경론(誠敬論)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일찍이 주돈이는 인간이 천리에 도달하는 요체를 정(靜: 고요함)에서 찾은 바 있다. 이에 대해 정호는 성(誠: 정성), 정이와 주희는 경(敬: 공경)에서 찾았다. 중종 때의 조광조가 자신의 호를 정암(靜庵)으로 한 것은 주돈이의 주장을 좇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율곡은 정호의 주장을 좇아 ‘성(誠)’을 중시했고, 퇴계는 주희의 주장을 좇아 ‘경(敬)’을 중시했다. 이를 통해 퇴율 모두 독자적인 입장에서 성리학의 제반 이론체계를 새로이 정립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퇴율이 소위 정주학으로 불리는 중국성리학과 대비되는 조선성리학의 비조가 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파주연구 제5호 - 경기도사이버도서관
text.library.kr/dc2015/dc20150708/dc20150708.pdf
2015. 7. 8. - 李票짝과 羅整흉훌의 理氣論 비교 연구-' '.'-. “ . ..... 학자 비교연구, 사단칠정논쟁, 심성론, 인심도심설의 문제, 퇴계학파 율곡학. 의 차이와 깔등 ...... 음과 행함, 기독론, 기도론, 성경론, 종말, 신자와 불신자 등 다양한 주제를. 성경 구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