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2010. 출처: dailymail.co.uk

 

 

 

 

 

한글디자인과캘리그라피-국가전략

 

.....

한글은 외래문화와 상호 주고받기 없이 창제된 유일무이한 문화유산이다. 배우고

쓰기 쉬운데다  그 멋진 조형성으로 갈수록 세계인의 주목을 끌고 있다. 게다가 땅

끝까지 진출하는 한국기업들과 한류 확산이 한글의 인기를 촉진했다. 한글의 구조

형식, 변용가능성, 미학이 새천년 한국을  알리는 문화원형이 되도록 하자. 한글디

자인이야말로 시비가 있을 수 없는 우리만의 고유디자인이다.”......

 

 

 

 

 

 

메모-창조의 의미

 

 

한글이 그야말로 고유한 우리 디자인이다  그러나 '외래문화와 주고받기가 전연없었

다'ㅡ는 것은 사실이 아니고 의미있는 것도 아니다  문화교섭과  독창성은 전연 상반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독창성이란 오직 새로운 발휘를 의미한다

문제는 한글이 새로운 문자형상의 세계를 열었고 또 앞으로도 계속 창조적으로 변전

전해갈 것은 확실하다 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한글발전의 도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

고  새로이 하는 일이 필요하며 '한글창제'에 버금가는  미적  이상의  새로운 창조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하이안자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