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elfnote/메모사항

형이상학/주자예학사상

하이안자 2014. 11. 29. 22:45


하이데거,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p.d.f파일보기


1) 禮의 형이상학 - 역사적 형성


<국문초록>

朱子學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이념적 기초였다. 과연 朱子學이 동아시아에서 절대의 이념으로 군림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이 논문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특히 주희의 예학에 주목했던 이유는 간단하다. 주희의 학문은 만년의 禮學으로 나아가는 체계적인 사상적 진화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또 주희의 禮學은 그의 도덕철학과 교육사상을 포괄하는 체계적인 경세론이기 때문이다.

우선 왕안석과의 대비 속에서 주희가 만년의 예학으로 나아갔던 정치적·사상적 동기를 추적했다. ?周禮?를 이상적 질서로 상정했던 왕안석은 ?周官新義?를 통해서 개혁의 이념적 기초를 마련했다. 그러나 주희는 ?儀禮?를 예의 핵심으로 파악했으며, ?儀禮?를 중심으로 三禮의 체계를 재정립했다. 주희는 왕안석의 공리사상을 극복하고 엄격한 도학의 이념에 기초한 새로운 경세론을 확립하려 했다. 주희의 학문은 북송대 왕안석에서 채경으로, 다시 남송대에는 진회에서 한탁주로 이어지는 공리사상에 대한 비판 위에서 전개되었다. 따라서 주희의 禮學은 공리사상에 대한 道學의 비판적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주희가 禮學을 건설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서술했다. 우선 규범의 철학적 정당성을 모색했던 20-30대의 주희에 주목했다. 마음의 본질과 우주의 始原에 대한 고도의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서 주희는 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확립했기 때문이다. 이어서 동시아에서 ?論語?에 버금가는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했던 ?家禮?의 사회적·역사적 의미를 밝히려 했다. 다음으로 주희의 도덕수양론이 교육학적 방법으로 체계화된 ?小學?의 분석을 시도했다. ?小學?은 단순히 아동을 위한 교과서가 아니라 도덕 교육의 방법과 중요성을 일깨우는 禮書였다. 따라서 ?소학?의 구조를 밝히는 것은 주희 예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작업이다. 마지막으로 긴 학문적 역정의 귀착점인 ?儀禮經典通解?에 관한 분석을 시도했다.

주희의 禮學철학적 근거의 모색에서 제도적 실천으로 다시 교육학적 체계화로 나아갔던 단계적인 발전의 과정이다. 이러한 상승의 종착점은 바로 만년 禮學의 결정판, ?儀禮經典通解?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儀禮經典通解? 속에 내포된 정치적·사회적·철학적 지향을 밝히고자 했다. ?儀禮經典通解?는 주희가 이미 점진적으로 밟아온 禮學의 체계를 집대성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금 처음에 제기했던 문제로 돌아가 주희가 왕안석의 ?周禮? 중심의 세계관을 벗어나 엄격한 ?儀禮?에 입각한 규범적인 經世論을 건설했던 주희의 학문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했다.   


 

'Selfnote > 메모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두서 자화상 논란  (0) 2014.12.22
은나라 고종(무정)-귀방  (0) 2014.12.20
한자의 옛발음과 우리말  (0) 2014.11.28
갑골문천문관련기사  (0) 2014.11.28
천부경원문  (0) 2014.11.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