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글공간론(송현시인)


 송현 시인은 한글 활자를 중심으로 공간론을 펴고있다 아직 한글공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중요한 성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네모꼴공간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자

세히 이루어졌다 아울러 조형공간을 주목한 것은 특히 유의할만하다고생각된다 그는 네모

꼴 공간을 위주로할 경우 판독률이 저하된다고 보고 있다 그의 내모꼴 공간 비판은 분명히

사실성을 지니고 있고 경청할만하다 

 네모꼴공간의 문제점이 있지만  개개의 글자를 넘어서 한글문장을 읽는 싯점에서 살펴보

면  네모꼴 공간의 해독율은 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네모꼴 공간의 정연한 규율성

으로 인하여 자소분멸이 매우 명확할 수있고 글자사이 즉 각 음절들이 단정하고 질서 있게 

구현되기 때문에 가독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시인의 지적대로 획이 중첩될 때 글자해

독률은 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자적 보완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나는 오히려 그의 조형공간론을 주목하고싶다 글자공간 즉 의미공간 외의 공간을 조형적

공간으로 보는 것은 매우 요긴하다  실제로도 조형공간은 그동안 자유롭게 사용돼왔다 이

점을 착안하여 조형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음절단위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조형공간의 활용이 높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이를 적극 조형화하는 노력은 중요하다고 생

각된다 글자 사이를 흐르는 공간은 탈조형적 자유공간이라고 이름할 수있을 것 같은데 이

자유공간도 중요하다 글자도 숨을 쉬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절-네모꼴의 문제점이 바로 자

유공간이 부족하여 형태적으로 너무 긴장된다는 데 있다 물론 그 긴장성이 가독성을 증대

하는 면은 있다 이를 조화되게 하면서 단정함-조형화-자유공간확보의 삼위일체적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이안자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