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겨레가 인용한 이 기사는 시국에 맞는 말이긴하다
그러나 한겨레등 신문이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다 상아탑의 교수들도 역시 책임에서 면피하
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이런 성어를 짓고 보도하는 것은 자
신들이 방조하고 방치했던 책임을 면피하려는 낯두
꺼운 느낌이 들어 마음 편치 않다....
그들이 다 함께 묘서동처인듯 하다
-하심
교수들이 뽑은 올해 사자성어 ‘묘서동처’…“고양이·쥐가 한패 됐다”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를 꼽았다. 고양이 ‘묘’, 쥐 ‘서’, 함께할 ‘동’, 있을 ‘처’라는 네 자로,...
www.hani.co.kr
steinsein on Twitter
“엄혹한 시절, 상아탑에서 고이 자란 먹물들이 사회에 대고 무슨 훈계를 늘어 놓을 수 있는가? 스스로 돌아보는 게 더 먼저. 학계나 표절 안하고, 파벌 짓 안하는 풍토 만들려 노력해야. 교수들
twitter.com
'Selfnote > 공람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당 최종 속내 드러나다-다당제연합정치 (0) | 2022.02.26 |
---|---|
조국의 운명은 (0) | 2022.02.01 |
정경심교수 대법 최종판결 임박 (0) | 2021.11.24 |
공부라니... (0) | 2021.11.22 |
민주당 접수자 (0) | 2021.11.2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회흑색
- Karin Batten
- 팔괘
- 열정
- 일기
- 폴헨리브리흐
- 자연주의
- 항적도
- 삼재사상
- 시공
- 헬렌후랑켄탈러
- 폴 레몬
- 문명
- Helmut Dorner
- Bruce Cohen
- 요즘
- 휘쳐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홀홀히
- 존재
- 문재인
- 한스 호프만
- 유교
- 편향지지율
- 하늘그리기
- 해군항적도
- 이상
- Carmen Cicero
- 새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