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elfnote/한글 미학

경세정운도설

하이안자 2014. 6. 1. 10:43




경세정운_도설.hwp


....

최석정(1646-1715,18세기)15세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조선어 음운 연구의 학자이다.

홍양호에 의해 최석정은 소리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고 음운은 평상거입으로 나누었다.

그의 경세정운 도설 원본은 일본 경도 대학 부속 도서관 하곡 문고에서 사본 두 책(,)으로 발견 되었다. 이 책은 대략 1701-1715년 사이에 저술된 것으로 보인다. 다시 이 책은 1678년 저술된 것으로 고증 되었다( 허동진 지음, 조선어학사, 1998, 142-151 , 특히 143 쪽 각주 50) 참조 ). 경세정운 도설은 훈민정음 해례가 나온 후 최초로 <<훈민정음>>을 연구한 저서가 된다.

최 석정은 부제학, 이조 판서, 좌의정, 대제학, 영의정을 역임한 관료 출신이다. 이는 운학(韻學)과 자학(字學)에 조예가 깊은 학자이다. 최 석정은 소 옹의 <<황극경세 성음창화도>>를 깊이 연구하여, 그것을 토대로 훈민정음의 체계를 운도로 나타내려고 하였다( 허동진, 상게서, 143 , 각주 52) 참조).

최석정의 <<훈민정음>> 연구는 열수 상형설을 바탕으로 초성 17자인데. 그는 5 행을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5 행은 목화토금수의 순서이다. 도표로 보면, 5음은 목() 아음, () 설음, () 순음,() 치음, () 후음이고, 아음은 각(), 설음은 치(), 순음은 궁(), 치음은 상(), 후음은 우(), 5, 5, 5() 방위와 결부시킨 성리학적 이론을 따랐고, 이는 <<훈민정음 해례본>>과 맞물린다.

최석정의 16개의 종성은 한 받침’ 12(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둘 받침’ 4 ( 설아(舌牙 )ㄹㄱ, 설순(舌脣) ㄹㅂ, 설치(舌齒)ㄹㅅ, 설후(舌喉) ㄹㆆ은 아주 중요한 연구이다.

한 받침은 그대로 종성으로 사용되는 데에 대하여 만 제외하고는 이의 없이 쓰인다.

둘 받침 설아 음 ’, 설순 음 넓다’ , 설치 음 ’ , 설후 음 등이 있다.

여기서 주목해 볼 수 있는 것은 종성 둘 받침(ㄹㄱ)은 구강 상형 문자(口腔 象形 文字)인 한글/훈민정음의 두 개의 다른 구강 위치의 결합(혀와 어금니 소리)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초성 음의 몇 개도 구강의 두개 위치가 부딪히거나, 닿거나 해서 사이음’(예 영어 F, V, Th, Aw W)들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현재 우리는 주로 단순한 한 구강 부위(部位)음만을 순수 한글의 초성 음이요, 그 외 다른 것은 한글/국어가 아니라고 딱 거절을 해 버린다. 예를 들어 보자......

 

경세정운_도설.hwp
0.03MB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