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elfnote/한글 미학

한글의 이중공간

하이안자 2014. 8. 23. 16:16






한글의 이중적 공간론




한글이 공간성을 강하게 띠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밝혀지고 있다 이 공간지각을

자극하고 구현하는 한글의 기능은 1)한글 자모 자체의 생성 2)조합운용의 두 단

계에 공히 나타나고 있는현상이다 이를 이중적 공간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이다


한글조자 자체가 조음기관과 조음공간의 긴장된 관계를 표현한 것임은 이미 분명

함 사실인데 한글 운용과정에서도 글자공간의 공간성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조음 혹은 조자 과정에서는  발음공간에서  발음기관이 작동함으로서 발음공간에

충반한 음기가 발출되는 절실한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음기발출의 모습이란 발음공

간을 가두었다가 공간전체를 울리게 하는 미음 이응을 필두로 공간을 일시적으로

부분적으로 가두었다가 풀어주는 비읍 피읍이 있으며 이는 방음공간 전체를 울리

는 소리로 나타난다 발음공간 내부에서 일부의조음기관을 다루어 그 음이 내부에

서 발음공간 전체로 퍼져나가게 하는 경우는 기역 니은 디귿 리을 시옷 지읒 치읓

티긑 등이 있다  극 외부긴장형의 조음과 내부긴장형의 조음으로 나뉜다  그러나

어느경우든 발음공간의 울림과 음전파를 묘사하고 있다


한글을 운용하는 과정에서는 당연히 자모를 조합함으로 인하여 좌우 공간의 결합

좌우상하공간의 결합 상하공간의 결합 등 자모결합을 통하여 긴장된 글자 공간을 

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특장을 표

하여 이중공간성이라고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하이안자 화심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