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림출처






 오행과 한글



한글모음에는 초성으로 분류된 ' 아( · ) ' 를 제외하고 ᄋᅀᅙᅌ등의 자음으로 취급된 글자들이 있다 

이들은 ᄋᅀᅙᅌ 각각 欲 穰 挹 業 등의 초발성이라고 설명하였다 ᄋ ᅀ ᅙ ᅌ 등은 · 에 비하여 음가

가 유사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모음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자음으로 분류한 것은 매우

독특한 것이며 모음은 자음을 만나서 음가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이를 초

성의 범위 속에서 말하고 있다


이는 모음 스스로를 독자적으로 오행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는 수에 속하고 ᅌ는 목에 속하

며 ᅙ는 화에 해당하고 ᄋ는 토에 ᅀ는 금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환단고기 소도경전본훈

의 오방오행설에 따른 것임) 대체로 모음은 하늘의 의미를 상징하고 지상에임한 하늘의 기운으로 취급

할 경우 위와같은 분류가 가下능하다 즉 천과 지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것이 모음초성일것으로 보인

다 여기에 인적 요소가 가미되면 일반자음이 된다 말하자면 천지인의 합체가 자음이며 이 경우 발음기

관의 특별한  움직임이 동반된다 (구강의 혀와 턱을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일) 구강의 일반적 움직임을

반영한 것은 초성의 모음이다 천은 성음의 기운이고 이 기운을 극단적으로 조절한 것이 자음인 셈이다


한글의 기타 자음들은 역시 홍범오행설의 설명과 매우 부합된다 기역은 곡직으로 구성되었으므로 목

에 해당되고 니은은 아래서 올라가는 모양을 갖추어 화에 속하고 시옷은 대립된 두 사선이 만나고 있

어서 계승과 변화(從革)을 의미하는 금에 해당하고 미음은 닫힌 경계를 의미하므로 토지를 상징하니

심고거두는 토에 적합하다 이응(혹은 모음 혹은 후음 등)은 목에서 나오는 음성기운을 원만하게 그대

로 유지하고 흐르니 윤하(潤下)의 의미에 정합된다 


환단고기의 소도경전본훈 오령에 설명하는 오행 역시 연관이 가능한데 수는 영윤(榮潤)이라고 하였

으니 초성 모음의 소리가 피어나오는 형상이다  화는 용전(鎔煎)이라고 하였으니 열기가 작용하므로

니은이 이에 해당된다  목은 영축(營築)이라고 하였으니  집을 짓듯이 처음 만들어진 소리로 기역이

이에 해당된다  금은 재단(裁斷)이라고  하였으니 음기가 축소된 시옷이 이에 해당된다 토는 심고 거

둔다고 하였으니 미음이 이에 해당된다


환단고기의 오제에 나오는 오행을 적용하면 수는 숙살의 기운이니 기운만 흐르는 모음초성의 본질

이다 화는 광열(光熱)이라고 하였으니 음기를 혀로 발양한 니은이다 목은 생양(生養)한다고 하였으

니 음을 처음 일으키는 기역이다 금은 성숙한다는 뜻이니 시옷이다 소리가 끊어짐이 없이 원만하기

때문이다 토는 심고 거둔다고 하였으니 미음이다


환단고기의  사명에 나오는 오행을 유추하면 수는 기(氣)이니 모음 혹은 초성이다 화는 기동(機動)

이라고 하였으니  음기를  흘려 혀로 다룬 니은이다  목은 질(質)이라고 하였으니 음질을 처음 이룬

기역이다 금은  형(形)이라고   하였으니 음기를 조절하여 이룬  시옷이다 토는 조화를 이룬다고 하

였으니 미음이 발음기관을 고루 울린다


이렇게 보면  천지인 삼재설과 음양 오행설은 한글의  전  과정에 관철되고 있다고생각할 수 있을 것

이다 



                                                                                    -하이안자

 





'Selfnote > 한글광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이섬기는 신의문자 한글  (0) 2016.07.12
한글창제원리교수법  (0) 2016.07.11
한글의 표의성  (0) 2016.07.04
한글조형-탈상형의 추세와 원칙  (0) 2016.06.25
디자인 한글  (0) 2016.06.2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