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론적으로는 이기론 증험적으로는 성선설의
문제가 실은 동질적인 문제를 이해한 결과였다
성품이 본래 선하다는 것은 시간적 차원의 언
급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선천 후천론과 같은
오랜 인식의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구체성을
더하기 위해 성선설이 사람이 본래 선하다는
이해를 벗어나서 마음의 체통이 선하고 아름
답게 작동하도록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해석
함으로써 시공의 구분 없이 인간의 정신을 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하이안자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이는 이기에 관한 성혼(成渾)의 서한을 받고 평소에 생각하던 이통기국설을 주장하게 되었는데, 서경덕(徐敬德)의 기일원설(氣一元說)을 부정하고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이통기국설은 주희(朱熹)의 이동기이설(理同氣異說)에 그 연원을 둔 것이다. 주희의 이동기이설은 정이(程頤)의 이일분수설에서 유래한다. 이이는 이를 무형(無形)·무위(無爲)라 하고 기를 유형(有形)·유위(有爲)라 함으로써, 이무위(理無爲)와 기유위(氣有爲)로서는 기발이승(氣
encykorea.aks.ac.kr
이기론(理氣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리적 이기관(主理的 理氣觀)의 대표적 이론은 이황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현일(李玄逸)에 의해 계승되고, 이진상(李震相)에 의해 전개되었다. 이황의 이기론은 이기론적 체계를 자연 현상의 해
encykorea.aks.ac.kr
이미지: Untitled
Google에서 검색된 philinst.snu.ac.kr 이미지
www.google.com
성선설(性善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유교개념용어 인간의 성품이 본래부터 선하다고 보는 맹자의 학설. 유교교리.
encykorea.aks.ac.kr
- Total
- Today
- Yesterday
- 요즘
- 홀홀히
- 문명
- 자연주의
- 삼재사상
- 열정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하늘그리기
- Karin Batten
- 항적도
- 존재
- Helmut Dorner
- 새벽
- 한스 호프만
- 헬렌후랑켄탈러
- Bruce Cohen
- 회흑색
- Carmen Cicero
- 일기
- 팔괘
- 시공
- 폴헨리브리흐
- 폴 레몬
- 해군항적도
- 이상
- 문재인
- 편향지지율
- 유교
- 휘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