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교에 대한 정의

 

유교는 아직 바르게 정의되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상당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국내에 널리 통용되고 있는 다음과

같은 정의는 그동안의 국제 학계의 의견을 종합한 것이지만 아직은 확론이 아닌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형적

인 정의로서 문제가 있다. 그보다도 더 근본적인 문제는 현재 우리 사회의 유교에  대한 입장과 연구 성과가 반영되

지 못하였다는 사실이다  현재 국내에서 유교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므로 당연한 결과이긴 하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적 관점의 유교인식은 매우 독보적인 것이었음에도 이 역시 반영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더 커다

란 문제일 것이다 전통시대 한국은 유교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 특히 이  말은 정치나  국력의 차원에서 그렇다는

것이 아니고 학문과 문화와 이념 즉 하나의 강렬한  이데올로기로서  유교는 한국에서 첨단의 전형성을 완성하였다

는 점을 말하려는 것이다 유교가 하나의  이데올로기였다는 것은  한국에서  유교가 살아숨쉬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시대와 함께 역동하며 숨쉬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아시아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면모다   유교는 정치적 면

에서는 중국적 색채가 강하고 또 조선시대에 조정에서 중국 즉 제국적 정치이념을 수용한 경우도 많다 그러나 지식

의 의 삶으로서 유교는 강렬한 생동성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려는 것이다  /haianja the haianist

 

 

 

 

(1)다음백과의 정의

 

유교 (종교)  [儒敎, Confucianism, 유학]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BC 551경~479경)가 창시한 사상./

 

 

공자가 창시하여 맹자·순자로 계승되어온 유교는 한(漢) 무제(武帝)와 동중서(董仲舒)에 의해 국가적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기 시작하여, BC 136년 국교로 선포되었다.  남북조시대에  신(新)도교가 융성하고  불교가 전파되면서 유교는

크게 쇠퇴했다. 그러나 이것이 유교전통의 소멸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유교는 당의 한유(韓愈)에 의해 부흥되기 시작

하여, 송대에 이르러 호원·범중엄·왕안석·구양수·사마광 등의 사대부에 의해 본격적으로 부활되었다. 원대에는 쿠빌라

이 칸이 등용한 허형(許衡)이 국가제도를 세우는 데 유교를 바탕으로 했다.

중국에서 유교는 명대의 유학자 주희·왕양명을 거쳐 청대에 이르러 절정에 달했다. 19세기 이후 서양사상이 유입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유교는 쇠퇴해갔지만, 유교의 전통은 중국인의 생활 속에서 계속되고 있다.

<브리태니커>

 

 

 

 

(2)네이버 백과의 정의 

  

 유교 [] :

 

 

공교() ·공자교()라고도 한다. 인()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이념으로 삼고, 수신() ·제가()

·치국() · 평천하()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 · 정치학이며, 수천 년 동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양사상을 지배하여 왔다. 춘추시대 말기에 태어난 공자는 대성()이었으나 고국인 노()나라에서는 뜻을 이루

지 못하고 15년간 여러 나라로 돌아다니며 ‘선왕()의 도()’를 역설하였으나 끝내  그 이상을 펴지 못하였다. 만

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사학()을 열어  많은  제자를 가르치는 한편 《시()》 《서()》의 2경을 정리하고

예() ·악()을  선정하였으며 《춘추()를  저술하고  또한 《역()》을  좋아하여  그  해석서라  할  수  있는

《십익()》을 저술하였다.

 

그러나 그의 사상의진수()는 그가 죽은 후, 제자들이 수집 편찬한 그의 언행록인 《논어()》에서 잘 나타난다

공자는 인을 가장중시하였으며, 인은 곧 효()이며 제()라 하여 인의 근본을 가족적 결합의 윤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육친() 사이에 진심에서 우러나는 애정을 강조하는 한편, 그것을 인간 사회의 질서 있는 조화적 결합의 원리로 삼

고, 정치에도 전개시켰다. 그것은 춘추시대 말기의 인간주의적 풍조의 영향을 받아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도덕성에 주

목하고, 거기서부터 현실사회의 혼란을 구제하려 하였다. 공자는 훌륭한 정치를 행했던 주()의 예악()을 끌어들

여 그 실행을 강조하면서, 예는 전통적 ·관습적인 사회규범이며 그것은 곧 인의  사회성 ·객관성을 보증하는 것이라 하

였다.

 

그후 맹자가 나타나 인의 실천을 위한 의()의 덕을 내세워 인의()를 병창()하였으며 또한 인간의 본성은 선

()이라 하여 내면적인 도덕론을 펴고,  선한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덕치()로서의 왕도론()을 주장하였다

맹자에 의하여 유교는 뚜렷하게 내면적으로 심화되고 또 정치론으로도 정비되었으며 한편 오륜()도 이 무렵에 시

작되었다. 얼마 후  순자()가  나타나  맹자의  내면화에 반대이론을  내세웠다. 그는  인간의 본성은 악()이므로

외면적 · 객관적인  예에  의해서만  수양이 완성된다고 생각하여 예를 강조하였다. 또 공자와 맹자가 존중하던 불가지

()인 하늘의 존재를 추방하고 인간의 독자적 입장을 주장하였다. <두산백과>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