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교에 대한 정의
유교는 아직 바르게 정의되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상당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국내에 널리 통용되고 있는 다음과
같은 정의는 그동안의 국제 학계의 의견을 종합한 것이지만 아직은 확론이 아닌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형적
인 정의로서 문제가 있다. 그보다도 더 근본적인 문제는 현재 우리 사회의 유교에 대한 입장과 연구 성과가 반영되
지 못하였다는 사실이다 현재 국내에서 유교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므로 당연한 결과이긴 하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적 관점의 유교인식은 매우 독보적인 것이었음에도 이 역시 반영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더 커다
란 문제일 것이다 전통시대 한국은 유교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 특히 이 말은 정치나 국력의 차원에서 그렇다는
것이 아니고 학문과 문화와 이념 즉 하나의 강렬한 이데올로기로서 유교는 한국에서 첨단의 전형성을 완성하였다
는 점을 말하려는 것이다 유교가 하나의 이데올로기였다는 것은 한국에서 유교가 살아숨쉬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시대와 함께 역동하며 숨쉬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아시아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면모다 유교는 정치적 면
에서는 중국적 색채가 강하고 또 조선시대에 조정에서 중국 즉 제국적 정치이념을 수용한 경우도 많다 그러나 지식
의 의 삶으로서 유교는 강렬한 생동성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려는 것이다 /haianja the haianist
(1)다음백과의 정의
유교 (종교) [儒敎, Confucianism, 유학]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BC 551경~479경)가 창시한 사상./
공자가 창시하여 맹자·순자로 계승되어온 유교는 한(漢) 무제(武帝)와 동중서(董仲舒)에 의해 국가적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기 시작하여, BC 136년 국교로 선포되었다. 남북조시대에 신(新)도교가 융성하고 불교가 전파되면서 유교는
크게 쇠퇴했다. 그러나 이것이 유교전통의 소멸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유교는 당의 한유(韓愈)에 의해 부흥되기 시작
하여, 송대에 이르러 호원·범중엄·왕안석·구양수·사마광 등의 사대부에 의해 본격적으로 부활되었다. 원대에는 쿠빌라
이 칸이 등용한 허형(許衡)이 국가제도를 세우는 데 유교를 바탕으로 했다.
중국에서 유교는 명대의 유학자 주희·왕양명을 거쳐 청대에 이르러 절정에 달했다. 19세기 이후 서양사상이 유입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유교는 쇠퇴해갔지만, 유교의 전통은 중국인의 생활 속에서 계속되고 있다.
<브리태니커>
(2)네이버 백과의 정의
유교 [儒敎] :
| ||
|
'Idea & culture > 문물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돌프 고띠에-서예예술의 가능성 (0) | 2009.09.07 |
---|---|
일관의 역사성 (0) | 2009.07.28 |
[스크랩] 신비의 황금제국 ‘페르시아’ 가 왔다 (0) | 2008.12.12 |
[스크랩] 제주박물관, '신라, 아시아를 만나다' 기획특별전 (0) | 2008.12.12 |
제사문제/퇴계종손의 고백과 연관하여... (0) | 2008.08.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문명
- 자연주의
- 문재인
- 하늘그리기
- 폴헨리브리흐
- 일기
- 유교
- 회흑색
- 편향지지율
- 삼재사상
- 홀홀히
- 팔괘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Karin Batten
- 폴 레몬
- 존재
- 요즘
- 헬렌후랑켄탈러
- 한스 호프만
- Helmut Dorner
- Carmen Cicero
- 휘쳐
- Bruce Cohen
- 해군항적도
- 새벽
- 열정
- 이상
- 시공
- 항적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