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Untitled (on the Bowery)

Charles Hinman (prints)

(American, 1932)

 

 

 

 

 

 


Galerie Karsten Greve, Cologne
Drususgasse 1-5
D-50667 Cologne, Germany

 

 

 

   물리 탄성의 인간학

 

 

 

 

인간은   엄격하게 제한된 시공간의 존재다

주어진 제한  속에서만 오로지 자유로울 수

있다  자유란  사실  제한으로 인해서 더 절

절히 느끼게 되는 것일 것이다

 

서구  근대의  낭만주의나 동아시아 고대와

중세시대의   청담사상은  자유를 갈구하는

영원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 엄격한 유교

적  예교가 지배했던  전근대사회에서 시문

이 발달하고 풍류가  추구된 것도 그때문이

었다 풍류(風流)란 용어 는 중국한(漢)나라
때의  문학작품에  등장하지만 <풍>이라는

말은 원래 노래와  시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승화된 감정'을 노래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최치원은 우리나라에 풍류도가 있다고하였

는데  이는 남북조시대 자유로운  삼교합일

사상을 지칭하는 말이다1

 

 

챨스  히맘의 공간도는 다중제한의 공간 속

에서 인간이  아름다움을 발양할 수 있다는

신념을 보여주고 있다  사람은 자유를 확대

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소중한  일이지만

사실 방탕에 흐를 수 있어  경계를 또한  요

하는 점을  간과할 수도  없다  따라서 자유

의  추구가 소중하지만  근엄함이라든가 경

계심이 없을 수 없을 것이다2

 

 

 

 

 

                      /haianja the haianist

 

 

 

  1. 풍류(風流) [본문으로]
  2. 역사는 소박주의(素朴主義)와 문채주의(文彩主義)의 순환 교체의 실상이라고 본것이 우리 전통의 관점이었다 [본문으로]

'recording of life > 문명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조각품-Jim Dine  (0) 2009.05.05
몰개성의 시대  (0) 2009.04.26
요즘 봄의 모습  (0) 2009.04.25
일상의 함정  (0) 2009.04.20
삶의 정화/Julião Sarmento  (0) 2009.04.2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