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자시언

지금의 시대에서

하이안자 2020. 2. 26. 15:54


-우리 전통 학행의 길은

단순한 기쁨을 추구하는 길-




공자께서 십유오세에 학행에 뜻을 두었다고 언명한 이래 논어는 

전통시대 군자들의 필독서로서 그들의 학행을 계도해왔으니 그후

어언 2500년의 세월이 지났다


논어의 첫 문장은 주지하듯이 <배우고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

라는 언명으로 시작된다 공자 가르침을 꿰뚫는 지남어일 것이다


나는 십유오세에 학행에 뜻을 두지는 못하였다 다만 십칠팔세에

경전의 문자를 읽을 뜻을 지녔을 뿐이었다 경전에 뜻을 두게 된

동기는 선고를 비롯한 어른 친지분들의 유교적 행실을 일상에서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지게 된 것이었다  그러나 유교적 교육

을 특별히 받은 일은 없었다 학교를 다녔기 때문이다 성장하면서

거의 무의식적으로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 집에서 접하는 일들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은연중에 느끼면서 나도 한문경전을 읽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그 후로는 틈을 내어 경전을 접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났고 그 결

과 오늘에 이른 것이었다 생각해보면 많은 문헌을 독파한 것도

아니고 경전을 정밀하게 분석하며 읽은 것도 아니었다 다만 말씀

하신 분들의 뜻을 그대로 정확하게 읽어야하겠다는 생각 뿐이었

다 지금도 그러하다 학구유자 라기보다는 생활유자의 길을 내내

걸어온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논어에 대해서는 위의 학이장을 살펴보면 배움의 기쁨을 논한

바로 뒤에 1)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즐겁지 아니한가 2)사람이

알아주지 않아도 유감이 없다면 군자가 아닌가 하는 내용이 이어

진다


여기에는 무슨 심오한 뜻이 내포된 것은 아니라고 본다 배움과 행

실 즉 학행이란 기쁨을 향하는 마음 그리고 기쁨을 지키는 마음

환언하면 기쁨을 저해하는 삶의 순간에 휘둘리지 않는 열락의 길

을 가는 것을 담담히 토로한 말씀이 아닌가 생각한다 학행이란

별다른 것이 아니며 스스로를 편안하게 하는 길 기쁘게 하는 길

을 소박함의 범주 가운데서 찾아가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학행의 길을 가는 것-벗을 만나는 일-남들과 어울려 살면서 그들

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로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가운데 열어나아가는 기쁨의 길-을 지칭한 것으로 여겨진다 바로

그같은 출발선이 바로 성자를 배우는 길임을 갈수록 느끼게 된다

자연스런 기쁨은 인류보편의 생명의 열락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에게는 그 이상의 별난 탐욕은 긴요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의 학(학행)이란 나와 삶의 사이에 있어야 할 것을

탐구하는 태도다   學行이란 學習과 같은 말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행(行)이라고 하지 않고 습(習)이라고 한 것은 의지를 가지고 익

혀야 가능해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배우고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말은 배우고 행해보면 기쁘지 않은가 라고 이해하

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꼭 문자를 배우고 익힘을 주로 말씀

한 것은 아닐 것이다




            2020-2-26

            하이안자
































'유자시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지표  (0) 2020.06.17
성선의 나라  (0) 2020.05.09
코로나-반 유교 :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0) 2020.04.11
사상과 이념의 실의 문제  (0) 2020.02.27
미사중지  (0) 2020.02.2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