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글혁명론
1
한글을 반포한 후 오늘까지 한글의 발전사를 정리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6대혁명단계를 거론하였다 사실상 한글의 창제
는 문화사적 생활사적 혁명임에는 분명하다고 하겠다 이 혁
명의 진행과정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일도 의미 있다고 생각
한다 말하자면 끝나지 않은 혁명인 것이다
2
그렇다고 하여 한글 이전의 한자문명을 낮게 평가하는 것 또
한 적절한 것은 아니다 혁명이라는 개념이 그 전의 역사를 전
면적으로 부정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우리
누천년의 역사를 부정거나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
다 예컨대 한글을 학문용어로 사용되지 못하였다는 점을 문
제점으로 강조하는 것은 역시 적당한 것은 아닐 것이다 한글
은 스스로 위대하다 무엇에 대비하여 위대한 것이 아니다 한
글이 스스로 발전하고 우리 문화의 중심이 되기 위한 노력은
우리의 것이다 즉 혁명의 책임은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이다
3
엄밀히 말한다면 문자란 생각의 그릇이다 말을 적는 것이지만
동시에 사고의 틀이기도 하다 대화할 때 사용하는 언어를 적는
데 그치지 않고 사물을 탐구하는 과정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한자를 사용하거나 영문을 사용하더라도 나의 사고와 탐구의
개성은 소멸되지 않는다 그러나 순수한 우리 말과 글로 말하고
탐구할 수 있다면 더욱 자유롭고 효율적이며 개성과 창의의 영
역을 보다 잘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한글은 그래서 위대한 것
일 것이다
4
우리 글은 지금 발전 도상에 있고 한껏 꽃피우지는 못하였다
앞으로 우리의 중대한 과제인 셈이다 우리 말로 우리글로 탐구
하고 대화할 때 우리는 보다 더 가까이 진실에 다가갈 수 있어
야한다 즉 우리말과 글을 더욱 다듬고 정밀화해야한다는 것이
다 문자와 말만가지고 될 일이 아니다 우리의 삶을 모두 그 안
에 담아서 사고하고 생각하고 행동하고 평가하는 전반적일 일
들이 바로 그안에서 벌어지면서 발전해 나아갈 것이다 문자를
말을 구사함에 보다 논리적으로 치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치열함으로 우리는 원대한 개척의 길을 갈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당장 미끈하고 마음에 드는 표현을 추수하기 보다는 새롭고 정
밀한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5
나는 지금도 한문문장을 쓰곤 한다 나름의 보폭과 의미의 나아
감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어로 쓰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르
며 동아시아 고전의 원래 모습이기도 하다 문자로 열게 되는 영
역이 미묘하게 다른 것이다 그 의미의 역역은 이미 우리말에서
도 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문으로 글을 쓰기도 한
다 역시 영어권 사람들의 문장과는 매우 다른 의미를 거느릴 수
밖에 없지만 나름의 특이한 발견 영역이 존재한다 어느 문자나
말이든 완벽하지는 않다 그래서 발전이 필요한 것일 것이다
-화심
[언어] 한글혁명(김슬옹)
☆읽고 나서☆최근 역사왜곡으로 논란이 되고있는 영화 <나랏말싸미>에 관한 글을 읽고나서 한글창...
blog.naver.com
"훈민정음 창제는 혁명…한글은 세종대왕이 홀로 만든 문자" | 연합뉴스
"훈민정음 창제는 혁명…한글은 세종대왕이 홀로 만든 문자", 박상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17-10-09 07:35)
www.yna.co.kr
[기고] 한글혁명은 계속되고 있다 / 최동식
10년 전 유럽에서 1000~1999년의 천년 역사상 인물 중 가장 좋아하는 사람을 100명 뽑아 인기투표(?) 고득점 순서대로 발표한...
www.hani.co.kr
조경복의 추임새-세번의 한글혁명에 이은 말의 혁명
한글은 3번의 혁명을 거쳐서 오늘날 우리 앞에 와있습니다. 첫번째가 우리의 위대한 세종대왕께서 1443년 한글을 창제한 일입니다. 익히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한글이 없었다면 우
blog.daum.net
[공연 리뷰] LA 연극무대 오른 '한글혁명'
우리 글 한글은 다른 문자의 발달이나 변천사와 궤를 같이 하지 않고 느닷없이 그 시대의 백성들에게 나타났다. 한민족의 삶과 문화를 통째로 바꾼 15세기의 이 역사적 사건은 분명 일
www.koreadaily.com
'Selfnote > 한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키문서의 훈민정음 소개 (0) | 2020.09.30 |
---|---|
한글의 표음 능력 (0) | 2020.09.09 |
한글- 디자인의 가능성 (0) | 2020.09.05 |
정인지 서문 이해 (0) | 2020.08.31 |
정음의 심층 이해 (0) | 2020.08.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기
- 시공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Carmen Cicero
- 폴 레몬
- 문재인
- 열정
- 삼재사상
- 휘쳐
- 문명
- 폴헨리브리흐
- 자연주의
- Helmut Dorner
- 한스 호프만
- 이상
- 헬렌후랑켄탈러
- 새벽
- 존재
- 하늘그리기
- 요즘
- Karin Batten
- Bruce Cohen
- 편향지지율
- 팔괘
- 유교
- 홀홀히
- 항적도
- 회흑색
- 해군항적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