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글조형미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한글 조형미 조합적 정체성


한글을 넘어서서....




한글의 조형미는 조합형으로 구성된 문자상태에서도 분석해 낼 수는 있지만 자모 그대로의

모양에서 유감없이 잘 발휘될 수 있다 자모원형의  조형미는 영문 자모보다 더 변화가 많고

단순하다 영문은 형태상 자모음의 차별성이 없는데 비하여 한글자모는 자음 모음의 형식상

명백히 구분된다 자음에 비해 모음이 현저하게 단순하고 규칙적이다 영문과 한글 자음은 비

교하여보아도 한글은 ㅁ ㅂ ㅇ ㅍ을 제외하고는 방형의 공간에서 4면의 벽이 열려있는 구조

인데 비해 영문은 닫힌 구조가 배 가량 많다 또한 한글 자모는 방형공간의 중심을 비워두는

형식이 대부분인데 비해 영문은 중심을 표시하는 문자가 대부분을 구성한다 이런 점에서 한

글은 중심을 비우고 개방적 형식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한글은 상형적 연상이 가능한 자음

과 지시적 기능을 나타내는 모음으로 나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다시 생각해보면 영문은 사물의 자연적 형상을 그대로 약화한 형식을 취하였으므로 상형성

이 강하고 한글은 자연형의 내부를 과감히 생략하고 외모를 단순화하고 또한 생략하여 이루

어진 탈상형적 문자이다 예를 들면 중심을 표현한 ㅅ ㅈ ㅊ을 보아도 상호 분별되는 상형성

보다는 ㅅ을 기초로 파생된 형식이다 그러므로 ㅁ ㅂ의 경우도 ㄱ ㄴ의 조합으로 받아들여지

는 것이며 탈상형의 조합문자로서 출발하였다는 것이다 


이 때 한글의 탈상형성은 그 기원을 자연적 상형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마도 녹도문자로 알려진 한국고대문자로부터 한글형이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겠는데 녿도문자의 문자구성의 요소들을 추출하고 이 기본획을 단순화한 후에 이를 다시

조합하는 방식으로 한글자모가 탄생하였다고 생각된다 이 문자를 한글반포당시에 발음기관

설로서 음가와 함께 형태를 해석했던 것이다 그 음가와 형태해석은 전연 새롭게 내려진 창의

적 결과물이다


원시한글의 자모가 왜 널리 유통되지 못하고 한자를 쓰는 역사로 진행된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아마도 중국이라는 안정된 문화권과의 교류를 위해서 공통문자를 주요문자로 선택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초창기에는 표의상형문자인 녹도문과 원시한글이 같이

쓰였을 것인데 녹도문자가 중국에 들어가 한자로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공용어처럼 쓰게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하자면 원시한글은 획기적인 새 문자였지만 그 당시 국제적 통용

성이 약하였는데 이는 바로 문자적 획기성이 뛰어났기 때문에 생소하게 느껴졌던 것이 아닌

가 생각된다 말하자면 1차의 한글창제는 널리 확산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문화로서 언어와 문자는 그들의 삶과 밀접하고 긴밀한 연대를 이룰 때 강력함을 지니게 된

다 새로운 빛을 발한다는 것이다 중국역사에서 이룩한 문화적 성과들이 한국사의 무대에서

보다 강력한 문화적 창출을 필요로 하였다 그 까닭은 넓은 영토와 다수 인중을 정착하고 다

스리기 위한 많은 제도와 사상과 정치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한자는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강력한 문자역량을 가지게 된 것이었다 말하자면 한자의 부상은 역사와 문화를 주도하는 힘

에서 나온 것이었다 


한국 상고 내지 고대사는 안정되고 영속적인 국가사회를 유지하고자하였지만 늘 강력한 도

전에 직면하고 있었다 중국와의 대결이나 외교 다수 북방민족들과의 부딪음 등으로 인하여

명백히 한반도에 정착하기 까지는 많은 동요를 겪어야하였다 조조선 부여를 지나 삼국시대

에 들어서야비로소 안정적 국가영위가 어느정도 보장되었던것이었다 이는 상고시대를 넘어

서는 새로운 문화의 측면에서는 하나의 발육 성장기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여하튼 한글이 이제 새로운 시대를 상징하는 표상이 되었고 새로운 문화의 중심을 구축하는

그 중심으로 발전하여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문명을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나 우리 상고사의 정신과 순수문명을 회복한다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사상과 정신이 충만히 갖추어졌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근대성 현재성

을 투여한다면 새 하늘을 열 수 있을 것이다 한글은 그 중심이 되어야 한다




                                                                         -화심 하이안자



















'Selfnote > 한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과 삼재사상  (0) 2015.11.16
한글자모 원형론  (0) 2015.11.08
한글의 역사성--진정한 한민족사의 존재양식  (0) 2015.11.07
기역론  (0) 2015.10.27
한글의 공간사상  (0) 2015.10.2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