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교사상과 문명의 재발견(5)-절실한 경험성의 재발견 과제
동아시아 사상에서는 삼재(三才)를 말한다. 이는 하늘(天) 땅(地) 사람(人)을 포괄하고 일치하는 사색
이라는 의미로 이해해 왔고 천인합일의 사상이라고 통칭돼왔다. 삼교합일의 사상 이 출현하고, '우리
동방에 풍류도가 있었다'는 최치원의 언급은 그 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정작 경험적
인 범주에서 여러 현상들을 어떻게 선택-수용하고 사유하여 왔는지에 대한 본질적 논의는 부족하였다.
그 결과 삼재의 실체와 의의는 충분히 탐구되지 못하였고, 유교사상의 본의의 탐구가 부족하다는 비판
이 각 시대에 이어졌다. 조선후기 실학의 등장은 그런 면에서 의미 있는 일이었으나 정미한 사유법으
로 승화되지는 못하였다.
예컨대 중용 대학은 도(道)를 중심으로 유학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고 전통적 사유의 정체를 규명하
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 각 경전을 포괄할 수 있는 논리를 추구하여 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상의
발전을 반영하는 중대한 성과였다. 논리적 측면에서는 "모래알에서 대지로, 깊은 연못의 수심에서 하
늘 끝까지 상하를 잘 관찰한다"든가 사물의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를 살피고 본말(本末)을 주목해
야한다고 하였다. 이른바 본말사상 혹은 중심과 지엽의 논리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었다. 그것은 분명
경험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공간과 시간을 넘어서는 현상의 보편성을 주목한 점에서 의미 깊다. 그러나
역시 경험을 다루는 방식상의 정체성을 정면에서 논구하였다고는 보기는 어렵다. 이 같은 현상과 경험
탐구상의 미완의 문제는 오랜 과제로 남아있다. 의외로 사물의 절실한 탐구를 표방한 대학의 격물치
지(格物致知) 사상은 경이적인 경험탐구법이면서도 본격 발전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경전 특히 삼경과 춘추좌전에서 논리와 경험의 관계를 면밀히 검토하면 다양한 경험을 수용 해온 경
험적 포괄성을 우선 알게 된다. 그 범주는 1)자연현상 2)천문현상 3)신비-재이현상 4)사람들의 생태
와 정념 5)문물 6)문자 문헌과 역사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사색의 대상이며 학문 내용이었고 중
요한 논리적 근거였다. 물론 그 경험과 논리 사이에는 독자적인 해석이 항시 개재하고 있다. 경험의
선택과 해석의 실상을 생생히 보여준다. 거기서는 각 경험들은 모두 동등한 자격과 의의를 지니는 것
으로 전제되었다. 그것이 천인합일 논리 근거였다. 예를 들어 자연의 일부들인 나무, 새, 산, 물이라
든가 세속의 생활모습, 남녀의 애정, 사회와 권력, 그리고 옷과 장신구 도구 물품과 문헌 의례와 관습
제례 등등의 여러 현상들은 엄격히 차별되지 않았고 서로 동등하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사유가 그 중
심이었다.
요컨대 유학은 현상 경험과 사유과정이 미분화된 사유법이 아니었다. 공자가 "나의 도는 하나로 꿴다
(一以貫之)"고 한 본질이 그것이었다. 삼재사상은 바로 그 일관의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삼재사상은 1)
해석 혹은 상정된 원리(天- 진리, 신앙, 궁극질서) 2)감각적 현상(地-인간의 생태 자연의 현상 만물의
드러남) 3)인문적 문물의 창조 성과(人-문화 문명 역사 작품 문헌 문물) 등으로 구분되는 각 범주 사
이의 소통과 통합을 지향하는 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는 가시적 지각적 개념과 신비적 의식이
나 상정된 세계와 창조된 현실까지 모두 차별 없이 포괄되어 있다. 그 사유법의 비밀은 그 경험간의 간
극을 해석하는 자유의 여지 속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공자가 개성에 따른 개념교육을 수행한
이유이다.
문명(文明)이란 개념이 시종 문제되는 것은 -명(明)이라는 개념으로 현상을 수용하고 해석함으로써 원
리를 사유하고 자각하여 그 확신된 밝음의 지력(明德)으로 새로운 의미 부여된 행동을 창출해내며,
이 때 창출된 것을 문(文)이라고 하였다는- 각 경험 해석과 가치 창조 사이를 매개하는 조화 일치적
특질 때문이다.
(유교연구소장 하이안자 유덕조)
동아시아 사상에서는 삼재(三才)를 말한다. 이는 하늘(天) 땅(地) 사람(人)을 포괄하고 일치하는 사색
이라는 의미로 이해해 왔고 천인합일의 사상이라고 통칭돼왔다. 삼교합일의 사상 이 출현하고, '우리
동방에 풍류도가 있었다'는 최치원의 언급은 그 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정작 경험적
인 범주에서 여러 현상들을 어떻게 선택-수용하고 사유하여 왔는지에 대한 본질적 논의는 부족하였다.
그 결과 삼재의 실체와 의의는 충분히 탐구되지 못하였고, 유교사상의 본의의 탐구가 부족하다는 비판
이 각 시대에 이어졌다. 조선후기 실학의 등장은 그런 면에서 의미 있는 일이었으나 정미한 사유법으
로 승화되지는 못하였다.
예컨대 중용 대학은 도(道)를 중심으로 유학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고 전통적 사유의 정체를 규명하
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 각 경전을 포괄할 수 있는 논리를 추구하여 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상의
발전을 반영하는 중대한 성과였다. 논리적 측면에서는 "모래알에서 대지로, 깊은 연못의 수심에서 하
늘 끝까지 상하를 잘 관찰한다"든가 사물의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를 살피고 본말(本末)을 주목해
야한다고 하였다. 이른바 본말사상 혹은 중심과 지엽의 논리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었다. 그것은 분명
경험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공간과 시간을 넘어서는 현상의 보편성을 주목한 점에서 의미 깊다. 그러나
역시 경험을 다루는 방식상의 정체성을 정면에서 논구하였다고는 보기는 어렵다. 이 같은 현상과 경험
탐구상의 미완의 문제는 오랜 과제로 남아있다. 의외로 사물의 절실한 탐구를 표방한 대학의 격물치
지(格物致知) 사상은 경이적인 경험탐구법이면서도 본격 발전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경전 특히 삼경과 춘추좌전에서 논리와 경험의 관계를 면밀히 검토하면 다양한 경험을 수용 해온 경
험적 포괄성을 우선 알게 된다. 그 범주는 1)자연현상 2)천문현상 3)신비-재이현상 4)사람들의 생태
와 정념 5)문물 6)문자 문헌과 역사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사색의 대상이며 학문 내용이었고 중
요한 논리적 근거였다. 물론 그 경험과 논리 사이에는 독자적인 해석이 항시 개재하고 있다. 경험의
선택과 해석의 실상을 생생히 보여준다. 거기서는 각 경험들은 모두 동등한 자격과 의의를 지니는 것
으로 전제되었다. 그것이 천인합일 논리 근거였다. 예를 들어 자연의 일부들인 나무, 새, 산, 물이라
든가 세속의 생활모습, 남녀의 애정, 사회와 권력, 그리고 옷과 장신구 도구 물품과 문헌 의례와 관습
제례 등등의 여러 현상들은 엄격히 차별되지 않았고 서로 동등하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사유가 그 중
심이었다.
요컨대 유학은 현상 경험과 사유과정이 미분화된 사유법이 아니었다. 공자가 "나의 도는 하나로 꿴다
(一以貫之)"고 한 본질이 그것이었다. 삼재사상은 바로 그 일관의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삼재사상은 1)
해석 혹은 상정된 원리(天- 진리, 신앙, 궁극질서) 2)감각적 현상(地-인간의 생태 자연의 현상 만물의
드러남) 3)인문적 문물의 창조 성과(人-문화 문명 역사 작품 문헌 문물) 등으로 구분되는 각 범주 사
이의 소통과 통합을 지향하는 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는 가시적 지각적 개념과 신비적 의식이
나 상정된 세계와 창조된 현실까지 모두 차별 없이 포괄되어 있다. 그 사유법의 비밀은 그 경험간의 간
극을 해석하는 자유의 여지 속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공자가 개성에 따른 개념교육을 수행한
이유이다.
문명(文明)이란 개념이 시종 문제되는 것은 -명(明)이라는 개념으로 현상을 수용하고 해석함으로써 원
리를 사유하고 자각하여 그 확신된 밝음의 지력(明德)으로 새로운 의미 부여된 행동을 창출해내며,
이 때 창출된 것을 문(文)이라고 하였다는- 각 경험 해석과 가치 창조 사이를 매개하는 조화 일치적
특질 때문이다.
(유교연구소장 하이안자 유덕조)
'recording of life > 경전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년의 변)새로운 복된 생각의 아이디어의 샘이 솟아나길 (0) | 2003.12.31 |
---|---|
대경대법의 사유형식과 논리 (0) | 2003.12.10 |
보편함을 지향하는 문명적 사색 (0) | 2003.11.11 |
호주제폐지안 국무회의 통과는 일종의 폭거이다. (0) | 2003.11.01 |
사유전통의 동아시아적 차원성 (0) | 2003.10.2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회흑색
- 하늘그리기
- 삼재사상
- 문명
- Karin Batten
- 일기
- 새벽
- 문재인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존재
- 편향지지율
- Bruce Cohen
- 홀홀히
- 항적도
- 팔괘
- 열정
- Helmut Dorner
- 한스 호프만
- 헬렌후랑켄탈러
- 이상
- 시공
- 유교
- 자연주의
- Carmen Cicero
- 폴 레몬
- 휘쳐
- 폴헨리브리흐
- 요즘
- 해군항적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