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 아침
어느 자연과학자의
주류론을 읽었다
가로대...
"자연과학자들이 적극적으로 발언할 때닷!
스스로 "주류"라고 자처하는
잘못된 지성적 주류의식을 바로잡기 위해서"
그러나...
죄송하지만
동물생태학자이며
동물사회학자의
"동물적"견해가
역시 이 사회의 유일한 주류가 된다는 것은
좀....그렇지 않을까요?
촌스런소인의 견해로는
진정 주류가되어야 할
한국 혹은 동아시아 전통지성 혹은 정통지성이
숨을 죽인 한국 근대사의 무대위에는
원래의 주인보다는
객들이 주인을 자처하였던 것이
한국지성의 최대비극이었다고
믿습니다.
왜 우리의 진정한
지성의 전통은
낡은 것으로
타도의 대상으로
매도되었는가를
성찰해야할 때라고 믿습니다
"21세기는 여성의
시대"라는 그의 말은
역시 일리가 있으나
그가 말하는
그런 식의 여성의 시대는
아니라고 믿어요.
역사성 전통성은
역시 가장 확고한
우리 주류의
요핵이 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참고기사
2004.5.16 (일) 18:20 동아일보 |
[닮고 싶은 2004과학기술인]<5>서울대 생명과학부 최재천교수 | |
[동아일보]
|
2004.4.2 (금) 18:43 조선일보 |
침팬지에게 정치를 배워라 |
침팬지 폴리틱스 | 프란스 드발 지음 | 황상익·장대익 옮김 | 바다출판사 | 304쪽 | 1만8000원 [조선일보]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고질병 중의 하나였던 지역감정에 힘입어 영남의 맹주와 더불어 나라를 양분하던 정당이 대통령을 탄핵하는 과정에서 잠시 적과 동침했다는 죄로 끝도 모르게 추락하고 있다. 어제까지 어깨동무를 하며 평생을 같이하자던 몇몇 동지들은 새로 정당을 만들어 언제 봤느냐는 듯 홀로 영화를 쫓고 있다. 애당초 이념따윈 갖고 있지도 않았던 ‘정치진드기’들은 침몰하는 배를 탈출하기 바쁘다. 바야흐로 선거철이다. 정치 얘기만 하면 냇물에 귀를 씻었다는 소부와 허유를 흠모하면서도 신문을 도배하는 정치계 소식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우리들. 우리는 누가 뭐래도 정치적인 동물들이다. 애써 깨끗한 척 부인해도 소용이 없다. 정치의 기원이 인류의 역사보다 더 오래 됐기 때문이다. 침팬지도 정치를 한다는 사실은 침팬지와 인류의 공동조상 역시 정치를 했었음을 의미한다. ‘침팬지 폴리틱스’는 제인 구달에 버금가는 침팬지 연구가 프란스 드 발이 네덜란드 아넴 연구소의 야외 사육장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사는 침팬지들을 관찰하며 그들의 사회구조를 분석하여 쓴 책이다. 네 마리의 수컷 침팬지들(이에론·루이트·니키·댄디) 간의 권력투쟁, 지배전략, 계급구조, 동맹, 배반, 음모, 거래, 타협, 화해 등이 적나라하게 묘사되어 있다. 세대교체 대세론을 앞세우고 집요하게 이에론의 권위에 도전한 루이트가 끝내 권력을 찬탈하는 데 성공한다. 그때 결정적인 도움을 준 니키는 젊은 나이에 2인자의 자리로 뛰어오른다. 제1인자가 된 루이트는 흥미롭게도 니키를 견제하기 위해 이에론과 동맹을 맺는다. 그러나 얼마 후 이에론과 니키가 연합 전선을 형성하여 결국 니키가 권좌에 오른다. 그러나 니키는 귀족의 원조를 받아 권좌에 오른 무력한 군주의 신세를 면치 못한다. “침팬지 사회에서는 무엇을 아느냐보다 누구를 아느냐가 더 중요하다.” 프란스 드 발이 남긴 명언이다. 1982년 프란스 드 발이 처음 이 책을 냈을 시절에는 동물에게 ‘인지’라는 단어를, 그리고 침팬지에게 ‘정치’라는 개념을 부여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불경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다르다. 얼마 전에는 프란스 드 발과 그의 동료가 원숭이들도 불공평한 대우에 불만을 표시한다는 관찰 결과를 저명한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정치학, 사회학, 인류학, 문화연구 그리고 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자신 있게 이 책을 권한다. 침팬지의 행동과 문화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원한다면 ‘인간의 그늘에서’(제인 구달 지음)와 ‘공부하는 침팬지, 아이와 아유무’(마츠자와 데츠로 지음)를 함께 읽으면 좋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책과 묘한 애증관계를 갖고 있다. 이 책은 내가 미국에서 읽었던 교양과학서 중 가장 좋아하던 책이다. 그래서 귀국한 후 처음으로 책을 한 권 번역해달라는 어느 출판사의 요청을 받고 곧바로 이 책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거의 3분의 1 가량의 번역을 마쳤을 때 다른 사람이 이미 번역을 끝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아쉽지만 나의 번역문은 오늘도 내 컴퓨터 한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있다. 이 책의 서평을 쓰며 나는 나의 그 ‘한 많은’ 번역문을 다시 꺼내 읽어보았다. 그리곤 이내 그것이 세상 빛을 보지 못한 게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이었나 깨달았다. 우리 과학사와 과학철학 학계의 두 실력 있는 학자들이 함께 번역한 책이라 처음 원서를 읽었을 때 느꼈던 감흥을 그대로 느낄 수 있었다. 더할 수 없는 원저에 나무랄 데 없는 번역이다. (최재천·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조선일보 Books 서평위원) |
'korean yu as life style > Situ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인류재앙 제국주의적 야심의 나라 (0) | 2008.07.16 |
---|---|
[스크랩] 호주제등 기네스수준 통과 (0) | 2005.03.04 |
장용림론 (0) | 2004.06.11 |
변경문화론(2)... 허구를 찾아서 (0) | 2004.05.29 |
한국의 가족주의 (0) | 2004.05.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삼재사상
- 새벽
- 요즘
- 존재
- 해군항적도
- 회흑색
- 팔괘
- Karin Batten
- 편향지지율
- Carmen Cicero
- 항적도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이상
- 열정
- 일기
- Bruce Cohen
- 하늘그리기
- 홀홀히
- 자연주의
- 유교
- 시공
- Helmut Dorner
- 폴 레몬
- 휘쳐
- 한스 호프만
- 폴헨리브리흐
- 문명
- 헬렌후랑켄탈러
- 문재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