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원리논쟁 문제의 배경 몇년 전에 한글 제자원리 논쟁이 있었다 논쟁의 핵심은 천원지방설에 근거를 두느냐 아니면 발음기관설을 중심으로 소리가 문자가 된 원리임을 강조하느냐에 있었다 이는 자음과 모음의 제자원 리에 대한 혼동에 따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천원지방이란 반드시 동그라미 와 네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개 자음이 지에 속하고 모음은 천에 속한 다고 볼 수 있다는 대전제가 필요할 것이다 천원지방설과 아울러 삼재사상을 어떻게 연관할 것인가도 남아 있는 숙제다 천원지방설에서 삼재사상은 상호 관계가 아직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발음 기 관설과 삼재사상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하는 이론적 문제도 같이 어우러져 있는 것이다 문제 제기의 오류 가능성 한글 창제가 이루어진 구체적 과정이 명확하지 않은 지..
지금의 글꼴이 영원불변의 것일까 정음은 1446년 반포당시 한국 사상과 문화를 집약한 것이다 글자를 창제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음운을 해석하고 창제원리를 논하는 전과정에서 당대의 식견 이 총동원된 것이며 창제의 정신은 그 시대 일관된 애민정신을 구현한 것이었 다 그 당시로서 최상의 문자를 고안해낸 것이었다 그러나 초성 중성 종성을 붙여 문자를 구성하는 방식은 글자답고 아름답고 효 율적인 것이지만 그대로 변할 수 없는 고정된 것은 아니다 자모음 문자를 재구 성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서양의 문자는 오히려 다시 재구성하 는 일이 불가능하다 상하 좌우로 묶어 음절단위로 표기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받침이라는 3대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서 영문 처럼 배열할 수는 있지만 종성인 ..
원리성이란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이미 자음의 격음 경음을 설명하는 장에서 물질적 질을 비유적으로 논하고 있으며 모음의 경우는 혀의 변화와 입모양의 변화를 통해서 음가를 설명하고 있다 아마도 자음으로서 물질 을 표현하고 모음으로 형상을 표현한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글 자모의 원리에 대한 질적 접근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한글 의 본질성을 강화하고 새로운 문자형상의 강화 혹은 변화 그리고 미적 향 상 시각적 원활성 등을 기획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리화의 의미 원리화란 역사화란 말과 동의어다 역사 속에서 이루어진 질적 핵심을 강조하고 계승하고 강화하여 역사적 가치를 증강하자는 것이다 물론 이 는 문자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우리 문화와 사상의 전체 부면에서 일어나 야 할 일이고 이를 한글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시공
- 요즘
- 문명
- 한스 호프만
- Karin Batten
- 팔괘
- 해군항적도
- 휘쳐
- 새벽
- 이상
- 문재인
- Bruce Cohen
- Helmut Dorner
- 편향지지율
- 하늘그리기
- 항적도
- 존재
- 유교
- 자연주의
- 열정
- 폴헨리브리흐
- 일기
- 홍익인간 연의 논어
- 삼재사상
- 회흑색
- Carmen Cicero
- 폴 레몬
- 홀홀히
- 헬렌후랑켄탈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